최종편집: 2025-05-15 08:02

  • 흐림속초18.2℃
  • 흐림16.2℃
  • 구름많음철원17.0℃
  • 구름많음동두천17.1℃
  • 구름많음파주16.2℃
  • 흐림대관령15.8℃
  • 흐림춘천16.1℃
  • 구름많음백령도13.5℃
  • 흐림북강릉21.7℃
  • 흐림강릉21.1℃
  • 흐림동해18.4℃
  • 비서울18.6℃
  • 안개인천15.4℃
  • 흐림원주18.0℃
  • 구름많음울릉도18.4℃
  • 흐림수원18.5℃
  • 흐림영월14.9℃
  • 흐림충주18.2℃
  • 흐림서산16.3℃
  • 흐림울진19.5℃
  • 비청주18.3℃
  • 비대전19.0℃
  • 흐림추풍령15.6℃
  • 흐림안동18.7℃
  • 흐림상주16.3℃
  • 흐림포항20.1℃
  • 흐림군산19.6℃
  • 흐림대구18.9℃
  • 비전주19.7℃
  • 흐림울산19.2℃
  • 흐림창원18.7℃
  • 흐림광주20.2℃
  • 흐림부산18.5℃
  • 흐림통영17.7℃
  • 비목포19.1℃
  • 박무여수18.4℃
  • 안개흑산도14.3℃
  • 흐림완도18.0℃
  • 흐림고창19.8℃
  • 흐림순천16.8℃
  • 비홍성(예)18.1℃
  • 흐림18.0℃
  • 흐림제주20.7℃
  • 구름많음고산18.0℃
  • 흐림성산19.5℃
  • 흐림서귀포19.5℃
  • 흐림진주19.2℃
  • 구름많음강화14.7℃
  • 흐림양평16.6℃
  • 흐림이천17.1℃
  • 흐림인제16.6℃
  • 흐림홍천16.0℃
  • 흐림태백18.0℃
  • 흐림정선군16.1℃
  • 흐림제천15.3℃
  • 흐림보은16.1℃
  • 흐림천안18.3℃
  • 흐림보령18.2℃
  • 흐림부여17.6℃
  • 흐림금산18.6℃
  • 흐림17.5℃
  • 흐림부안20.5℃
  • 흐림임실18.4℃
  • 흐림정읍20.4℃
  • 흐림남원19.5℃
  • 흐림장수18.5℃
  • 흐림고창군20.0℃
  • 흐림영광군19.5℃
  • 흐림김해시18.0℃
  • 흐림순창군17.9℃
  • 흐림북창원20.4℃
  • 흐림양산시18.8℃
  • 흐림보성군18.7℃
  • 흐림강진군18.3℃
  • 흐림장흥18.5℃
  • 흐림해남19.4℃
  • 흐림고흥18.8℃
  • 흐림의령군19.5℃
  • 흐림함양군15.6℃
  • 흐림광양시19.0℃
  • 흐림진도군19.5℃
  • 흐림봉화14.3℃
  • 흐림영주15.1℃
  • 흐림문경15.7℃
  • 흐림청송군16.4℃
  • 흐림영덕19.1℃
  • 흐림의성17.0℃
  • 흐림구미17.7℃
  • 흐림영천18.2℃
  • 흐림경주시19.5℃
  • 흐림거창15.7℃
  • 흐림합천18.1℃
  • 흐림밀양18.8℃
  • 흐림산청15.5℃
  • 흐림거제18.8℃
  • 흐림남해20.6℃
  • 흐림19.1℃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단국대병원 허윤정 교수, ‘또다시 살리고 싶어서’ 책 출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단국대병원 허윤정 교수, ‘또다시 살리고 싶어서’ 책 출간

환자들과 지독한 사랑에 빠져 있던 외상외과 교수의 생생한 기록

f_단국대병원_허윤정 교수.jpg


[시사캐치] 삶과 죽음의 문턱에서 싸우고 있는 외상외과의 1분 1초 기록이 생생하게 담겨있는 책 《또다시 살리고 싶어서》가 출간됐다.

 

이 책의 저자는 현재 단국대병원 권역외상센터 외상외과 전문의이자 혁신형 미래의료센터 소속 의사과학자, SBS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 3〉 촬영 자문의였던 허윤정 교수. 허 교수는 메스를 들 때는 한없이 냉정하면서도 과감한 의사다. 하지만 메스 대신 펜을 들 때는 부드럽고 감성적 시선을 가진 작가이기도 하다.

 

비번이 거의 없는 팍팍한 근무를 제외한 시간, 허 교수는 외상센터에서 만나고 또 자신이 보내야만 했던 환자들, 자신이 구한 환자들에 대한 감상이 생생하게 느껴져 환자가 마지막 순간에 느꼈던 감정과 그들의 인생을 모나게 했던 풍파에 대해 더 많은 이들이 알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기에 책을 썼다고 한다. 허 교수는 여전히 사랑하는 가족과 일찍 이별해야 했던 별들을 위한 천국이 있기를 기도한다.

 

이 책은 수술할 때는 냉철하지만 환자 앞에서만은 부드러운, ‘진짜’ 의사가 전하는 외상센터의 24시간이 오롯이 담겨있다.

1부 ‘플래티넘 미닛’은 외상센터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다. 외상센터에 실려 오는 환자들은 비극적인 사고로 인해 가장 심한 손상을 입은 사람들이고, 이들을 살리기 위한 노력은 그만큼 눈물겹다. 또한 환자의 가족들에겐 삶의 가장 큰 비극을 주는 공간이기도 하다. 의사와 의사 간의 대화는 피 튀길 정도로 긴박하고, 의사와 환자 간의 대화는 슬프고도 아름답다. 누구나 외상센터를 갈 수 있다는, 죽음에 가장 가까운 곳에서 살려 달라고 외칠 수 있음을 생각하면, 삶과 죽음에 대해 더욱 뜨겁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부 ‘똑같은 환자가 없듯이’는 외상센터를 거쳐 간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다. 의사와 자살 시도 환자로 만난 초등학교 동창(반갑다 친구야), 뼈란 뼈가 모두 부러지고 몸속에 흙이 가득 차 실려 온 노동자(삶은 계란), 사지 마비의 고통을 이기고 살아난 환자(D를 위한 편지), 120일간 ‘소양강 처녀’를 부르며 죽음을 이겨낸 육십 대 할머니(해애 저어무운~ 소오양강에)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소생과 죽음을 읽다 보면, 숙연함과 슬픔 그리고 유머러스함까지 수많은 감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3부 ‘당신이 열두 번 실려 와도’는 의사로서의 허윤정, 인간으로서의 허윤정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됐다. 의대생으로서의 고단한 삶, 여성 의사로서 느낀 보람과 슬픔 등 아주 개인적인 이야기를 읽다 보면, 치열한 ‘칼잡이’의 인간적인 뒷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허 교수는 "첫 의사 시절, 중증 외상에 인생을 걸어 보겠다고 결심한 것은 눈앞의 환자를 살리는 것뿐만이 아니라 환자 없이는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지 못할 가족들의 목숨도 함께 살리기 위해서였다”라며, "생명을 구하는 의사들이 마음껏 생명을 구하게 해 주고, 이 땅의 젊은이들이 그러한 의사가 되기를 꿈꾸게 만드는 것이 진정한 의료 개혁 아닐까”하는 물음을 던졌다. 이어 "이 책을 통해 멀어진 의사와 환자 사이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하며, 삶의 의문과 좌절을 경험하고 있는 독자들에게는 따스한 위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