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0-21 11:20

  • 흐림속초9.2℃
  • 구름많음12.5℃
  • 구름조금철원12.3℃
  • 구름많음동두천11.1℃
  • 구름많음파주10.3℃
  • 흐림대관령7.6℃
  • 구름많음춘천12.5℃
  • 구름많음백령도10.6℃
  • 흐림북강릉11.4℃
  • 흐림강릉12.2℃
  • 구름많음동해14.8℃
  • 흐림서울10.5℃
  • 구름많음인천10.3℃
  • 흐림원주12.6℃
  • 흐림울릉도11.2℃
  • 구름많음수원11.7℃
  • 구름많음영월14.4℃
  • 구름많음충주13.6℃
  • 구름많음서산11.9℃
  • 흐림울진14.3℃
  • 흐림청주13.7℃
  • 흐림대전12.4℃
  • 흐림추풍령14.3℃
  • 흐림안동15.2℃
  • 흐림상주15.1℃
  • 비포항14.3℃
  • 흐림군산13.2℃
  • 흐림대구16.6℃
  • 흐림전주13.6℃
  • 흐림울산15.7℃
  • 흐림창원16.0℃
  • 구름많음광주14.6℃
  • 흐림부산17.4℃
  • 흐림통영17.0℃
  • 흐림목포13.6℃
  • 흐림여수16.3℃
  • 흐림흑산도14.4℃
  • 흐림완도15.9℃
  • 흐림고창12.4℃
  • 흐림순천13.4℃
  • 흐림홍성(예)12.4℃
  • 구름많음12.3℃
  • 흐림제주18.8℃
  • 흐림고산17.7℃
  • 흐림성산19.8℃
  • 흐림서귀포20.3℃
  • 흐림진주15.1℃
  • 구름많음강화10.6℃
  • 구름많음양평13.0℃
  • 구름많음이천12.7℃
  • 구름많음인제13.0℃
  • 흐림홍천11.1℃
  • 흐림태백10.1℃
  • 흐림정선군13.4℃
  • 구름많음제천13.8℃
  • 흐림보은13.9℃
  • 구름많음천안12.4℃
  • 흐림보령11.9℃
  • 흐림부여13.1℃
  • 흐림금산14.4℃
  • 흐림12.4℃
  • 흐림부안13.2℃
  • 흐림임실14.9℃
  • 흐림정읍12.4℃
  • 흐림남원14.7℃
  • 흐림장수13.6℃
  • 흐림고창군11.9℃
  • 흐림영광군13.2℃
  • 흐림김해시16.2℃
  • 흐림순창군15.1℃
  • 흐림북창원16.3℃
  • 흐림양산시17.4℃
  • 흐림보성군15.8℃
  • 흐림강진군14.3℃
  • 흐림장흥14.5℃
  • 흐림해남13.7℃
  • 흐림고흥16.1℃
  • 흐림의령군15.0℃
  • 흐림함양군15.5℃
  • 흐림광양시15.9℃
  • 흐림진도군14.0℃
  • 흐림봉화14.6℃
  • 흐림영주14.7℃
  • 흐림문경15.1℃
  • 흐림청송군15.2℃
  • 흐림영덕15.1℃
  • 흐림의성15.8℃
  • 흐림구미15.8℃
  • 구름많음영천15.8℃
  • 흐림경주시16.2℃
  • 흐림거창15.6℃
  • 흐림합천15.8℃
  • 흐림밀양17.1℃
  • 흐림산청14.7℃
  • 흐림거제16.8℃
  • 흐림남해16.0℃
  • 흐림17.4℃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순천향대 의학과 양현종 교수, 류코트리엔 조절제와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성 밝혀내 …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

순천향대 의학과 양현종 교수, 류코트리엔 조절제와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성 밝혀내 …

소아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천식, 알레르기비염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류코트리엔 조절제의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성 밝혀내 …
세계적 권위의 국제 학술지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11월호에 게재


[크기변환]662166054_M5BTKRCv_c6d9cf8f19d6232fba03b11b05ea084cf6f694ac.jpg

 

[시사캐치][시사캐치] 순천향대(총장 김승우의학과 양현종 교수(부속 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가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류코트리엔 조절제 복용 이후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도가 복용 초기 14일간 증가하나, 14일 이후에는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는 것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코트리엔 조절제 알레르기비염의 주요 염증매개체인 류코트리엔의 작용을 억제해 눈과 코 증상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알레르기비염의 주요 염증매개체인 류코트리엔의 작용을 억제해 눈과 코 증상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제

 

 

양 교수는 자기대조환자군 연구를 통해 류코트리엔 조절제 복용 초기 14일 동안 우울증불안 장애수면 장애 등 다양한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며이러한 이상 반응은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는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나 소아에서는 증가하지 않음을 밝혀냈다.

 

특히 이러한 약제 이상 반응은 주로 복용 초기에 발생하므로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는 류코트리엔 조절제 복용 시작 14일 동안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밝혀내 큰 주목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최근 류코트리엔 조절제와 소아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 위험성자기대조환자군 연구(Leukotriene-receptor antagonist and risk of neuropsychiatric events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 self-controlled case series)’라는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IF: 33.801, Respiratory system 분야 상위 2.3%, 2021 JCR 기준) 11월호에 게재됐다.

 

교신저자인 양현종 교수는 "류코트리엔 조절제는 소아 청소년 천식알레르기비염의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절제로서최근에 불거진 신경정신학적 이상 반응 발생에 대한 우려로 진료에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류코트리엔 조절제를 시작하는 환자나 기존에 장기간 복약하던 환자들에게서 이득과 위해를 가늠하여최선의 진료를 가이드할 수 있는 근거를 밝혀낸 점에 의의가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본 연구는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지난 10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되는 등 우수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