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8-10 06:49

  • 맑음속초21.3℃
  • 맑음18.4℃
  • 맑음철원17.7℃
  • 맑음동두천18.7℃
  • 맑음파주18.5℃
  • 맑음대관령12.1℃
  • 맑음춘천19.2℃
  • 구름조금백령도21.7℃
  • 맑음북강릉20.1℃
  • 맑음강릉21.7℃
  • 구름조금동해19.8℃
  • 맑음서울21.0℃
  • 구름조금인천22.7℃
  • 구름조금원주18.6℃
  • 구름조금울릉도23.4℃
  • 박무수원20.3℃
  • 맑음영월17.7℃
  • 구름조금충주18.2℃
  • 구름조금서산20.6℃
  • 구름조금울진19.1℃
  • 구름조금청주21.1℃
  • 구름많음대전21.4℃
  • 흐림추풍령20.7℃
  • 박무안동20.7℃
  • 구름많음상주21.1℃
  • 비포항22.3℃
  • 구름많음군산22.0℃
  • 비대구21.5℃
  • 흐림전주21.7℃
  • 비울산20.5℃
  • 비창원22.1℃
  • 비광주22.0℃
  • 비부산22.1℃
  • 흐림통영22.3℃
  • 비목포23.0℃
  • 비여수22.0℃
  • 비흑산도23.3℃
  • 흐림완도26.6℃
  • 흐림고창22.3℃
  • 흐림순천20.7℃
  • 박무홍성(예)19.7℃
  • 구름조금19.4℃
  • 흐림제주29.2℃
  • 흐림고산27.4℃
  • 흐림성산27.5℃
  • 흐림서귀포27.5℃
  • 흐림진주19.6℃
  • 맑음강화19.4℃
  • 구름조금양평20.6℃
  • 구름조금이천20.1℃
  • 맑음인제19.8℃
  • 맑음홍천19.8℃
  • 맑음태백13.5℃
  • 맑음정선군16.4℃
  • 맑음제천17.5℃
  • 구름많음보은19.0℃
  • 구름조금천안18.2℃
  • 구름조금보령20.3℃
  • 구름많음부여20.7℃
  • 구름많음금산21.4℃
  • 구름조금20.8℃
  • 흐림부안21.8℃
  • 구름많음임실21.0℃
  • 흐림정읍22.4℃
  • 구름많음남원21.6℃
  • 흐림장수19.9℃
  • 흐림고창군22.2℃
  • 흐림영광군22.2℃
  • 흐림김해시21.5℃
  • 흐림순창군21.8℃
  • 흐림북창원22.2℃
  • 흐림양산시21.4℃
  • 흐림보성군22.3℃
  • 흐림강진군23.5℃
  • 흐림장흥23.1℃
  • 흐림해남26.1℃
  • 흐림고흥22.6℃
  • 흐림의령군20.6℃
  • 구름많음함양군21.4℃
  • 흐림광양시21.6℃
  • 흐림진도군26.0℃
  • 맑음봉화14.9℃
  • 맑음영주16.8℃
  • 구름조금문경18.3℃
  • 흐림청송군21.2℃
  • 흐림영덕20.4℃
  • 흐림의성21.6℃
  • 흐림구미21.2℃
  • 흐림영천20.7℃
  • 흐림경주시21.6℃
  • 흐림거창21.1℃
  • 흐림합천21.8℃
  • 흐림밀양21.9℃
  • 흐림산청21.1℃
  • 흐림거제22.2℃
  • 흐림남해21.8℃
  • 비21.9℃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충남도, 축구장 4700개 크기 ‘꿀벌 먹이 숲’ 조성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충남도, 축구장 4700개 크기 ‘꿀벌 먹이 숲’ 조성

밀원숲 조성 1단계 완료…3379만 9000㎡에 848만 9000그루 심어
‘꿀벌 실종’ 선제 대응 눈길…내년부터 2단계 2905만㎡ 식재 추진

[크기변환]아까시3.JPG

 

[시사캐치]충남도가 최근 5년 동안 축구장 4700개가 넘는 크기의 숲에 800만 그루 이상의 밀원수를 식재했다.

 

밀원수는 꿀벌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나무로, 기후변화에 따라 세계적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꿀벌 실종 사태 해결책을 선제 추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도는 밀원숲(특화림) 조성육성 1단계(20182022) 사업을 마무리, 당초 목표를 131%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밀원숲 조성은 밀원 감소와 기후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양봉농가를 지원하고, 꿀벌에 의한 화분 매개 등 자연생태계 건전성 유지를 위해 추진 중인 사업이다.

 

도는 2018년부터 올해까지 1단계 5년 동안 총 33799000의 밀원숲을 조성했다.

 

이는 축구장(7140) 4733개 크기로, 당초 목표로 잡은 2579보다 31% 넓은 규모다.

 

연도별 조성 면적은 20185473000㎡ △20195759000㎡ △20207987000㎡ △2021756㎡ △올해 702등이다.

 

군별로는 금산이 6096000로 가장 넓고, 공주(3872000)와 논산(2946000), 부여(2779000), 청양(2518000) 등이 뒤를 이었다.

 

식재 나무 수는 20181339700그루 20191908000그루 2020190200그루 20211804700그루 올해 1536500그루 등이다.

 

수종별로는 백합나무 12123384500그루 헛개나무 80240002286900그루 옻나무 4993000874400그루 밤나무 190700085900그루 등이다.

 

이 같은 성과에 따라 밀원숲 조성 사업은 올해 도정을 빛낸 10대 시책에 선정되기도 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2단계에는 2905의 밀원숲 조성을 추진한다.

 

추진 방향은 다양한 밀원수종 조림 쉬나무 등 채밀량이 많은 수종 묘목대행생산 지정 마을 공한지 등 유휴 토지 활용 밀원수림 조성 수종개화 시기별 맞춤형 밀원수 조성 등으로 잡았다.

 

[크기변환]백합4.JPG

 

도 관계자는 "밀원숲 조성 사업은 벌꿀 실종 사태 해결의 실마리 중 하나인 밀원수 식재를 일찌감치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앞으로도 채밀 수종 다양화로 양봉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경제림 육성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 양봉농가는 2020년 기준 2400호로 전국 27400호의 9.1% 수준이며, 사육군수는 268000군으로 전국 2679000군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같은 해 꿀 생산량은 1만 톤, 생산액은 2080억 원으로 조사됐다.

 

꿀벌은 전 세계 과채 수분의 70% 이상을 담당하고, 인간에게 연간 50조 원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벌이 채밀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생태계 자체가 흔들린다고 보고 있다.

 

꿀벌 집단 폐사실종 원인으로는 낭충봉아부패병 등 병해충, 이상기후, 농약 사용, 대기오염, 밀원수 감소 등이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밀원수 복원 및 다양화, 꿀벌 품종 개발, 도시 양봉 육성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