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09-17 06:34

  • 흐림속초24.6℃
  • 비21.9℃
  • 흐림철원21.3℃
  • 흐림동두천21.8℃
  • 흐림파주21.7℃
  • 흐림대관령19.9℃
  • 흐림춘천21.8℃
  • 비백령도20.4℃
  • 흐림북강릉23.1℃
  • 흐림강릉25.1℃
  • 흐림동해25.0℃
  • 박무서울23.5℃
  • 박무인천23.4℃
  • 흐림원주22.0℃
  • 구름많음울릉도26.0℃
  • 박무수원23.1℃
  • 흐림영월21.6℃
  • 흐림충주22.9℃
  • 흐림서산22.9℃
  • 구름많음울진25.4℃
  • 비청주24.1℃
  • 비대전23.9℃
  • 구름많음추풍령21.6℃
  • 구름많음안동22.2℃
  • 구름많음상주22.8℃
  • 구름조금포항25.7℃
  • 흐림군산23.4℃
  • 구름많음대구24.5℃
  • 흐림전주25.1℃
  • 맑음울산24.1℃
  • 맑음창원24.6℃
  • 구름많음광주26.3℃
  • 맑음부산25.8℃
  • 맑음통영25.4℃
  • 구름많음목포26.9℃
  • 박무여수25.2℃
  • 구름많음흑산도26.5℃
  • 맑음완도27.6℃
  • 구름많음고창26.5℃
  • 구름조금순천22.6℃
  • 비홍성(예)22.1℃
  • 흐림22.6℃
  • 맑음제주26.8℃
  • 구름조금고산28.3℃
  • 구름조금성산26.2℃
  • 구름많음서귀포28.1℃
  • 구름조금진주23.8℃
  • 흐림강화22.8℃
  • 흐림양평22.1℃
  • 흐림이천22.4℃
  • 흐림인제21.1℃
  • 흐림홍천22.1℃
  • 흐림태백21.4℃
  • 흐림정선군21.8℃
  • 흐림제천21.5℃
  • 흐림보은22.4℃
  • 흐림천안22.8℃
  • 흐림보령2.3℃
  • 흐림부여23.4℃
  • 흐림금산24.0℃
  • 흐림23.2℃
  • 구름많음부안25.2℃
  • 구름많음임실23.7℃
  • 구름많음정읍26.0℃
  • 구름많음남원23.4℃
  • 구름많음장수24.7℃
  • 구름많음고창군26.0℃
  • 구름많음영광군26.6℃
  • 맑음김해시24.7℃
  • 구름많음순창군23.5℃
  • 맑음북창원26.3℃
  • 맑음양산시25.1℃
  • 구름조금보성군24.4℃
  • 구름조금강진군24.9℃
  • 구름조금장흥23.9℃
  • 구름많음해남26.7℃
  • 맑음고흥25.1℃
  • 구름조금의령군22.7℃
  • 구름많음함양군22.3℃
  • 구름조금광양시25.3℃
  • 구름많음진도군25.7℃
  • 흐림봉화20.3℃
  • 흐림영주21.1℃
  • 흐림문경21.9℃
  • 구름많음청송군21.0℃
  • 구름조금영덕22.7℃
  • 구름많음의성22.4℃
  • 구름많음구미22.7℃
  • 구름조금영천22.3℃
  • 맑음경주시23.1℃
  • 구름많음거창22.1℃
  • 구름많음합천23.1℃
  • 구름조금밀양25.0℃
  • 구름많음산청22.7℃
  • 맑음거제26.2℃
  • 맑음남해25.8℃
  • 맑음24.4℃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2025 대전 0시 축제’ 경제·브랜드·시민참여 3박자 달성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2025 대전 0시 축제’ 경제·브랜드·시민참여 3박자 달성

216만 명 방문, 4,021억 원 경제효과…‘노잼도시’에서 ‘완잼도시’로 도약

f_3. ‘2025 대전 0시 축제’개최 성과 공유, 경제브랜드시민참여 성과 3박자 달성1.jpg


[시사캐치] 대전시는 1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이장우 시장과 축제추진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5 대전 0시 축제’ 성과 공유 및 발전방향 논의 회의를 열었다. 이번 축제는 총 216만 명이 방문하며 2년 연속 국내 축제 중 최단기간 최다 관람객 기록을 달성했고, 경제 효과와 도시브랜드, 시민참여 측면에서 모두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축제는 지난 8월 8일부터 16일까지 9일간 원도심 일원에서 열렸으며, 직·간접 경제 효과는 4,021억 원으로 추산돼 지역경제와 원도심 상권 회복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이번 축제를 기점으로 대전은 ‘노잼도시’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꿀잼도시·완잼도시·웨이팅의 도시’로 탈바꿈했다는 평가를 얻었다. 한화이글스의 인기, 성심당·지역 맛집 등과 함께 최근 선정된 ‘2025 아시아 최고 가성비 여행지’ 9위와 맞물리며 도시브랜드 제고에 긍정적인 전환점을 마련했다.

 

온라인 반응도 주목할 만했다. 축제 관련 콘텐츠 조회수는 1,728만 회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고, 구글 트렌드 지수에서 대전이 전국 지자체 중 1위를 기록하며 국내외에서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시민 참여 역시 크게 늘었다. 2천여 명이 참여한 시민대합창을 비롯해 일반 시민 공연 참여자는 전년 대비 78% 증가한 3,294명에 달했으며, 자원봉사자 1,695명까지 포함하면 약 5천 명이 축제 운영에 힘을 보탰다. 가족 단위 체험형 콘텐츠가 강화된 옛 충남도청사 ‘패밀리 테마파크’에는 53만 명이 다녀갔고, 지역 캐릭터 꿈씨패밀리 굿즈 판매는 전년보다 46% 늘어난 2억 3천만 원을 기록했다.

 

대전 0시 축제는 다른 지자체에서도 벤치마킹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원주·천안·보령·화천 등 10여 곳에서 벤치마킹 방문이 이어졌으며, KBC 광주방송은 지방소멸 위기 대응 사례로 특별 보도했다. 불과 3년 만에 전국 축제의 롤모델로 부상한 셈이다.

 

안전·환경·먹거리 관리도 철저했다. 하루 평균 817명의 안전요원이 현장을 지켰고, AI 기반 인파 관리시스템이 운영됐다. 다회용기 135만 개 지원과 8천 명이 참여한 친환경 캠페인, 704개 음식점 위생점검으로 3년 연속 ‘안전사고 無·쓰레기 無·바가지요금 無’라는 ‘3무(無) 축제’ 명성을 이어갔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올해 축제는 시민들의 열정과 참여가 경제 활성화, 도시브랜드 가치 증진, 시민 참여형 축제라는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의미 있는 성과였다”라며 "앞으로 해외 콘텐츠를 강화하고 원도심을 넘어 대전 전역으로 프로그램을 확대해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