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10-24 05:58

  • 흐림속초13.2℃
  • 맑음8.9℃
  • 맑음철원8.2℃
  • 맑음동두천8.0℃
  • 맑음파주8.1℃
  • 흐림대관령7.1℃
  • 맑음춘천9.6℃
  • 맑음백령도12.8℃
  • 비북강릉11.5℃
  • 흐림강릉12.2℃
  • 흐림동해14.4℃
  • 구름조금서울12.0℃
  • 구름조금인천10.9℃
  • 맑음원주8.7℃
  • 흐림울릉도12.2℃
  • 맑음수원11.7℃
  • 맑음영월8.7℃
  • 맑음충주9.1℃
  • 구름조금서산11.4℃
  • 흐림울진14.3℃
  • 맑음청주12.1℃
  • 맑음대전11.2℃
  • 맑음추풍령10.4℃
  • 흐림안동10.9℃
  • 맑음상주10.1℃
  • 흐림포항14.5℃
  • 맑음군산12.2℃
  • 박무대구11.9℃
  • 맑음전주11.7℃
  • 구름많음울산14.2℃
  • 구름조금창원14.1℃
  • 맑음광주12.6℃
  • 구름조금부산15.3℃
  • 구름조금통영14.7℃
  • 맑음목포13.7℃
  • 맑음여수16.1℃
  • 구름조금흑산도15.8℃
  • 구름조금완도13.3℃
  • 맑음고창9.6℃
  • 맑음순천8.7℃
  • 구름많음홍성(예)12.1℃
  • 맑음8.8℃
  • 구름조금제주19.6℃
  • 맑음고산18.0℃
  • 맑음성산17.8℃
  • 맑음서귀포18.8℃
  • 맑음진주10.1℃
  • 맑음강화11.3℃
  • 구름조금양평10.4℃
  • 맑음이천9.8℃
  • 구름많음인제10.3℃
  • 맑음홍천7.0℃
  • 흐림태백9.3℃
  • 흐림정선군11.3℃
  • 맑음제천7.4℃
  • 맑음보은8.3℃
  • 맑음천안9.2℃
  • 구름조금보령10.6℃
  • 구름조금부여12.2℃
  • 흐림금산10.1℃
  • 맑음11.0℃
  • 맑음부안11.4℃
  • 흐림임실11.7℃
  • 맑음정읍10.5℃
  • 맑음남원9.8℃
  • 맑음장수8.6℃
  • 맑음고창군11.6℃
  • 맑음영광군
  • 맑음김해시13.3℃
  • 흐림순창군10.3℃
  • 맑음북창원14.9℃
  • 구름조금양산시15.5℃
  • 맑음보성군11.5℃
  • 맑음강진군10.6℃
  • 맑음장흥9.8℃
  • 맑음해남8.9℃
  • 맑음고흥11.2℃
  • 맑음의령군8.9℃
  • 맑음함양군9.3℃
  • 맑음광양시13.9℃
  • 맑음진도군13.4℃
  • 맑음봉화7.9℃
  • 맑음영주7.8℃
  • 맑음문경9.6℃
  • 맑음청송군10.2℃
  • 구름조금영덕10.4℃
  • 흐림의성9.8℃
  • 맑음구미11.5℃
  • 맑음영천8.8℃
  • 구름많음경주시12.4℃
  • 맑음거창10.2℃
  • 맑음합천11.1℃
  • 맑음밀양10.9℃
  • 맑음산청10.9℃
  • 구름조금거제13.0℃
  • 맑음남해14.7℃
  • 맑음12.8℃
기상청 제공
시사캐치 로고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23일 KAIST 본원서 협약식, 국가 핵심 양자 인프라 조성 시동
지역 산학연 연계 강화, 양자클러스터 중심도시 도약 본격화

f_1.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본격 착수1.png


[시사캐치] 대전시는 KAIST와 손잡고 국내 최대 규모‘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에 본격 착수한다.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개방형 양자팹’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개방형 양자팹’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34억원, 시비 200억 원, 카이스트 자부담 17억 원 등 총 451억 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양자 전용 공정에 필요한 필수적인 장비를 구비하여, 수준 높은 공정 환경을 보장하는 동시에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설은 KAIST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500㎡ 규모로 신축되며,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준공 이후에는 KAIST가 운영을 맡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전시는 시 재정을 투입하는 만큼, 지역 산·학·연이 함께 참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체계를 마련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 연계 중심의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과 산업화 기반 구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 분야”라며"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의 경쟁력 기반을 확립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대전이 대한민국 양자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가장 강력한 발판이 될 것이다.”며 "KAIST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산·학·연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고, 양자 기술을 통한 미래 산업 선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최근 3년간 개방형 양자팹, 양자대학원, 양자 테스트베드, 양자컴퓨팅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퀀텀 플랫폼 등 양자클러스터 조성의 핵심 인프라를 연이어 유치하며, 국가 양자클러스터 거점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