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강연회는 2025 전국여성위원회 공모사업으로 시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경민 강사의 ‘관계 중심의 이미지 메이킹’ 특강에 이어 청주대학교 이주희 교수(법학과, 양성평등교육진흥원 강사)가 ‘디지털 성범죄의 본질과 사회적 대응 방향’을 주제로 심층 강연을 진행했다.
이주희 교수는 디지털 성범죄는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그리고 그 관계를 규정하는 사회적 젠더 규범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스마트폰·인터넷·AI 등은 단지 폭력의 수단에 불과하며, 그 근저에는 젠더 위계와 불평등한 권력구조가 자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형사처벌은 필요하지만 결코 충분하지 않다며, 법의 한계와 함께 피해자 중심의 지원체계 확립을 강조했다. 피해자가 여러 기관을 전전하지 않아도 되는 통합형 원스톱 지원체계, 예산과 인력의 안정적 확보, 성인지 감수성에 기반한 수사·재판 절차 정착이 필수 과제로 제시됐다.
디지털 성범죄는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플랫폼의 구조적 책임과 연결된 사회적 폭력이라며, AI 기반 탐지 시스템 도입,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국제 공조 체계 강화(Budapest Convention 가입 등)와 같은 플랫폼 책임 강화와 사전 예방형 규제(Prevention by Design)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강연을 마무리하며 "플랫폼은 중립적 기술이 아니라 폭력의 매개자이자 해결의 주체이며, 피해자 보호는 선택이 아닌 사회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 여성위원장 김현옥 의원은 "사회 제도와 문화에 내재 된 성별 간 위계를 허물고, 상호 존중과 배려의 문화가 확산될 수 있는 의식의 변화에서부터 진정한 양성평등이 시작된다며 이번 강연회를 계기로 시민과 함께 평등한 디지털 사회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