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이종담 천안시의원, 'AI 3대 강국 실현 중앙정부와 지자체 대응전략 토론회

기사입력 2025.09.16 17:08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f_image01.png


    [시사캐치] 천안시의회(의장 김행금)는 지난 15일 천안신불당센터에서 이종담 의원(불당1동, 불당 2동)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충남지역연합회 공동주관으로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대응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국정과제인 AI 산업에 있어서 지방정부 차원의 구체적 실행방안과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주제발표를 한 윤상오 단국대학교 교수는 지자체의 역할에 대해 "지역 차원의 AI 규제 특구 및 특화 시범도시 등 AI 산업 기반 조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벤처기업 및 중소기업 육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하면서 "충남의 AI 산업의 실질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대학을 AI 거점대학으로의 지정 및 육성하여 지역 산업 발전의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가 강조하였다.

     

    이종담 의원이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는 나원식 남서울대 교수. 유영채 천안시의원, 유석호 공주대학교 교수, 김주덕 천안시 스마트도시추진과장, 채규수 백석대학교 교수, 이희성 단국대학교 교수, 정재림 남서울대학교 교수, 최창규 충남연구원 정책기획부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AI 산업 발전에 있어 지자체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천안시의회 유영채의원은 광주의 모빌리티와 대구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예를 들면서 "천안의 AI 특화산업을 위해서는 최근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NPU 기업의 양산 시설 유치에 힘써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최창규 충남연구권 정책기획국장은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인 산업 육성은 예산편성 등 실질적인 추진에 있어서 한계가 있으므로 국가의 전략에 부합하는 산업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리벨리온이나 퓨리오사와 같은 스타트업이 자생하고 발전할 수 있는 벤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끝으로 이번 토론회를 주관한 이종담 의원은 "지방정부가 AI 국가전략과 발맞추어 지역 맞춤형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산업 혁신과 인재양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토론회에서 발표한 정책제안이 실질적인 충남의 AI 산업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