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최민호 시장, 세종보 1,300억 썼는데…1년 시험 가동 후 결정하자

기사입력 2025.08.04 20:54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1년간의 시험 가동 제안
    막대한 예산 투입된 세종보, 가볍게 해체할 일 아니다
    '명품보' 세종보, 댐이 아닌 수위 조절 장치
    '재자연화'의 정의에 대한 의문 제기

    [크기변환]사본 -KakaoTalk_20250804_174819003_06.jpg


    [시사캐치] 최민호 시장은 8얼 4일 국외출장 관련 기자브리핑에서 세종보 해체 결정에 반대하며, 최소 1년의 시험 가동을 통해 문제점을 검토하고 시민 합의를 거쳐 최종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세종보 재가동을 요청한 세종시의 공식 입장으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세종보를 성급하게 해체해서는 안 된다는 최 시장의 소신이다.

     

    최 시장은 세종보 건설에 투입된 예산 1,287억 원과 재가동을 위한 보수 비용 30억 원을 언급하며, "총 1,3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들인 시설을 가볍게 해체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의 해체 결정과 윤석열 정부의 취소 결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충분한 검토와 시간이 부족했다고 비판했다.

     

    최 시장은 세종보를 ‘명품보‘라고 칭하며, "댐처럼 물을 가두어두는 시설이 아니라 ’뉘었다 세웠다‘ 하면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가동보다. 이는 홍수기에는 물을 더 많이 흘려보내고, 가뭄기에는 물을 가두어 금강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최 시장은 현 정부의 4대강 재자연화 정책에 대해 "재자연화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하며, 대청호 건설 이전의 수량이 풍부했던 금강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진정한 재자연화라고 주장했다.

     

    대청호 건설로 인해 수량이 줄어든 금강을 복원하는 것이 우선이며, 세종보를 통해 이를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환경단체가 제기하는 수질 및 생태계 문제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며, 이에 대한 해법으로 세종보를 최소 1년간 시험 가동해보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1년 동안 세종보를 가동하며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보완책을 마련한 뒤 시민 합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재가동 여부를 결정하자”고 덧붙였다.

     

    최 시장은 "자연은 그렇게 가볍지 않다. 탁상공론이 아닌 현장에서의 실제 시험을 통해 판단해야 한다. 세종보 시험 가동을 통해 시민들이 직접 변화를 체감하고,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backward top home